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3.19. (수)

내국세

영업이익으로 이자 못 내는 '좀비 상장기업' 비율 21.8%…사상 최대

2020년 15.3%→작년 9월 21.8%…6.5%p↑

중소기업 32.8%, 제조기업 56.2%에 집중 

 

국내 상장기업 중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충당하지 못하는 일명 ‘좀비기업(한계기업)’ 비율이 크게 증가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제조기업 중심으로 한계기업의 증가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어 한국경제의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임광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12일 금융감독원에서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9월 기준 상장기업 중 한계기업의 비율은 21.8%(대기업 10.8%, 중소기업 32.8%)로 2020년(15.3%) 대비 6.5%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상장기업 중 한계기업 비율은 2020년 15.3%, 2021년 16.2%, 2022년 17.7%, 2023년 19.1%, 2024년 9월 21.8%로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계기업의 경영지표(부채비율, 차입금의존도, 매출액영업이익률)도 현격하게 악화됐다. 한계기업의 부채비율은 2020년 121.6%에서 2024년 9월 167.7%까지 치솟았다. 같은 기간 차입금 의존도는 27.7%에서 40.7%로 늘었으며,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마이너스 7.0%에서 마이너스 4.0%로 나타났다.

 

업종별 한계 상장기업을 살펴보면, 제조업이 328곳으로 절반 이상(56.2%)을 차지했다. 제조업 한계기업의 증가는 우리나라 수출의 근간인 제조업의 약화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는 수출경쟁력 위축으로 나타날 우려가 있다.

 

임광현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경쟁력을 키우겠다며 작년 2월 야심 차게 추진한 ‘밸류업 프로그램’의 1년 성적표를 살펴보니 오히려 좀비기업만 양산하는 밸류 다운 프로그램이 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정부는 근본적인 해결책 대신 ‘시총 기준을 올려 좀비기업을 퇴출하겠다’며 눈 가리고 아웅식 고육지책에만 급급하다”며 “상장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를 통해 기업 생태계를 혁신하고, 우리나라의 회복과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달 발표한 ‘기업공개(IPO) 및 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에서 시가총액 요건을 코스피 50억에서 500억원, 코스닥 40억원에서 300억원으로 각각 상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매출액 요건도 코스피 50억원에서 300억원, 코스닥 3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상향하고, 최대 개선기간은 코스피 4년에서 2년, 코스닥 2년에서 1.5년으로 축소했다.



배너



배너